Good Life Style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Good Life Style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96)
    •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
    • 말씀하시는 성령 (670)
    • 삶의 이야기 (143)
    • Good Tree[좋은 나무] (10)
    • Good Tree 동영상 (9)
    • 삶의 이야기2 (15)
      • 노년기 관련기사 (5)
      • 노후생활 수기 (0)
      • 노년을 위한 정보 (10)
      • 인생역전 이야기 (0)
    • 신구약성서연구 (68)
      • 모세오경 (3)
      • 역사서 (1)
      • 시가서 (2)
      • 대선지서 (2)
      • 바울서신 -교리서신 (1)
      • 바울서신 -옥중서신 (1)
      • 조직신학 (9)
      • 성서신학 (14)
      • 선교신학 (9)
      • 성서적 상담학 (8)
      • 기독교교육학 (10)
      • 기독교윤리학 (8)

검색 레이어

Good Life Style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삶의 이야기

  • 불신(不信)

    2025.02.23 by James S. S. Jung

  • 세상에서 성도가 행할 일

    2025.02.22 by James S. S. Jung

  • 영생의 소망

    2025.02.17 by James S. S. Jung

  • 우수(雨水)

    2025.02.16 by James S. S. Jung

  • 정월 대보름

    2025.02.12 by James S. S. Jung

  • 입춘(立春)

    2025.02.03 by James S. S. Jung

  • 글로벌화 되어가는 세계화

    2025.02.01 by James S. S. Jung

  • 인간 존엄에 기초한 자유

    2025.02.01 by James S. S. Jung

불신(不信)

불신(不信) 불신(不信)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어느 한쪽을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반면에 신뢰(信賴)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 지속하여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에 대한 협조와 지지를 기대하는 믿음을 갖게 된 상황이다. 지금 한국 사회는 신뢰보다 불신으로 가득 찬 상황이다. 특히, 정쟁으로 일삼는 정치권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에서도 나타났던 현상이 재현되고 있는 듯 하다.조선시대의 당쟁은 두 세력의 붕당(朋黨)이 서로 다투는 상황이었다. 붕(朋)은 친구를 의미하며, 당(黨)은 편당(偏黨), 파당(派黨)으로 뭉치는 것을 말한다. 당은 자기를 따르는 사람을 받아들이고, 자기를 따르지 않는 사람은 배척하였다. 이같이 붕(朋)은 좋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붕당(朋黨)은 그렇지 못하다. 붕당(朋黨)은 현..

삶의 이야기 2025. 2. 23. 02:16

세상에서 성도가 행할 일

세상에서 성도가 행할 일누가복음 12장 56-591. 시대를 분간하면서 실천하지 않는 외식하는 자를 권고하고 계십니다."56. 외식하는 자여 너희가 천지의 기상은 분간할 줄 알면서 어찌 이 시대는 분간하지 못하느냐?"시대가 요청하는 사고와 판단, 행동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자를 가리켜 외식하는 자라 표현하고 있습니다.인간은 지각이 있어서 천지의 기상을 분간할 줄 아는 존재입니다. 봄이 오면 따뜻한 햇살이 겨울 동안 움츠리던 만물이 기지개를 켜고 해갈될 것을 알고 있으며 여름철이 되면 뜨거운 태양볕에 찌는 듯한 무더위를 견디어내야 할 것을 아는데도 불구하고 이 시대는 분간하지 못하느냐? 묻고 있습니다.2. 옳은 것을 판단하고 행동으로 실천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계십니..

삶의 이야기 2025. 2. 22. 22:27

영생의 소망

영생의 소망 (시편 39편 7-13절)1. 자기의 소망을 주께 둔 이유"7 주여 이제 내가 무엇을 바라리요 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 8 나를 모든 죄에서 건지시며 우매한 자에게서 욕을 당하지 아니하게 하소서. 9 내가 잠잠하고 입을 열지 아니함은 주께서 이를 행하신 까닭이니이다."자기의 소망이 주께 있는 자는 그분께 바랄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독백하고 있습니다.그가 바라는 것은 첫째, 모든 죄로부터 자신을 건져주시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둘째는 우매한 자에서 욕을 당하지 않게 하실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셋째는 잠잠히 입을 열지 않은 이유는 주께서 이를 행하셨기 때문이라 했습니다.자기의 소망이 주께 있음을 고백한 이유는 곧 자기를 모든 죄에서 건지시고 우매한 자에게서 욕을 당치 않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삶의 이야기 2025. 2. 17. 21:12

우수(雨水)

우수(雨水)우수는 24 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입니다. 우수가 되면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입니다.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이며, ‘우수·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습니다.우수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입춘이 되면 태양의 황경이 330°의 위치에 오게 되고 낮밤의 길이가 같아지면서 지구의 온도는 태양빛으로 따뜻해지기 시작합니다.그러나 꽃샘추위라는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기도 합니다. 우수가 되면 추위가 풀리고 봄기운이 돋아 초목이 싹트기 시작합니다. 한국사회도 얼어붙은 정세가 따뜻한 봄기운으로 새싹이 돋듯이 속히 풀리기를 기대해 봅니다.특히, 생활고, 병고, 타인에 대한 마음고 등 따스한 봄기운에 다 풀리기를 기대합니다.법과 규정을 위반한 이들에..

삶의 이야기 2025. 2. 16. 09:47

정월 대보름

오늘은 정월 대보름입니다. 이날은 정월(1월)의 보름날을 가리키는 말로써 한국의 전통 명절이기도 합니다. 설날 이후에 처음 맞게 되는 보름날로서 이를 '상원', 혹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부릅니다.한 해를 시작하면서 첫 보름달을 볼 수 있는 날입니다. 이날은 밤에 쥐불놀이를 하면서 밤을 지새우기도 하던 날입니다. 풍년을 기원하면서, 가족과 이웃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항상 달처럼 평화와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기도 합니다. 이날 즐겨 먹던 음식은 부럼, 오곡밥(쌀, 조, 수수, 팥, 콩), 약밥, 대추, 밤, 귀밝이술, 김, 취나물, 호박고지, 무고지, 가지나물, 버섯, 고사리, 제철 생선 등을 먹으면서 한 해의 건강과 소원을 기원하기도 하던 날입니다.이날에 주로 즐기던 전통 놀이는 고싸움, 자치기,..

삶의 이야기 2025. 2. 12. 19:39

입춘(立春)

입춘(立春)입춘(立春)은 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아직 춥지만, 햇볕은 강해지고 밝아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이는 태양이 지구의 북반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기이며, 북반구 방향으로 지구가 천천히 달구어지는 시차가 진행되기 때문에 한 달 정도 지나면 따뜻한 봄을 느끼게 되는 이때가 곧 춘분입니다. 춘분이 되어야 봄을 느낄 수 있다. 이후 경칩이 되면 따뜻한 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봄이 되면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는 글자를 대문에 붙이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입춘대길은 남인의 허목이, 건양다경은 송시열이 만들었다는 유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다 구전으로 전해올 뿐,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유래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오고 있습니다. 봄은 꽃을 연상하게 하는 계절입니다..

삶의 이야기 2025. 2. 3. 14:07

글로벌화 되어가는 세계화

세계화는 다양한 측면에서 몇 가지 형태를 지닌 사회문화의 변동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전 세계는 점점 더 글로벌화되어 가고 있는 디지털 경제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온라인을 통한 재택근무와 재택수업,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를 의미합니다. 글로벌화는 다양한 사상과 문화적 경험들이 서로 교류하게 되면서 글로벌 융합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것은 문화적 교류의 증가로서 음식, 음악, 패션, 사상과 문화의 융합을 말합니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은 기후 변화를 초래하면서 생태계 환경을 위협하는 환경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글로벌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것은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시키면서 국제적인 협력과 대응이 중요성이 부각하고 있습니다...

삶의 이야기 2025. 2. 1. 14:18

인간 존엄에 기초한 자유

서구사회와 한국 사회가 이해하고 있는 자유는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의해 서로 다른 차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서구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는 계몽주의 철학에 의한 영향과 민주주의의 발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표현, 종교, 언론 등의 자유를 중요한 인간의 가치로 여기고 법과 제도를 통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중시하면서 조화로운 가족과 씨족, 마을 공동체의 안정을 더 중시해 왔던 역사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교 사상에 영향을 받아온 전통적인 가치관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한국 사회는 개인의 자유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동시에 조화로운 가족과 사회, 국가라는 공동체의 안정을 더..

삶의 이야기 2025. 2. 1. 14:1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
TISTORY
Good Life Style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