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와 믿음, 종의 자세 (눅 17:1-10)
오늘은 용서와 믿음, 종의 신분을 가진 자가 어떻게 처신해야 할 지에 대한 말씀을 나누고자 합니다.
1. 성도들이 가장 조심해야 할 일
“1.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실족하게 하는 것이 없을 수는 없으나 그렇게 하게 하는 자에게는 화로다 2.그가 이 작은 자 중의 하나를 실족하게 할진대 차라리 연자맷돌이 그 목에 매여 바다에 던져지는 것이 나으리라”
작은 자 하나라도 실족하지 않게 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밝히신 말씀입니다. 내가 말하는 한 마디, 행동 등은 어느 한 연약한 자로 하여금 실족하게 하느냐 강한 믿음의 사람이 되게 하느냐 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인간이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의사와 생각을 표현하는 말과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항상 조심스럽게 말하고 행동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한 번 더 정화된 언어와 행동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는 말입니다.
2. 용서와 믿음
“3.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만일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경고하고 회개하거든 용서하라 4.만일 하루에 일곱 번이라도 네게 죄를 짓고 일곱 번 네게 돌아와 내가 회개하노라 하거든 너는 용서하라 하시더라 5.사도들이 주께 여짜오되 우리에게 믿음을 더하소서 하니 6.주께서 이르시되 너희에게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 있었더라면 이 뽕나무더러 뿌리가 뽑혀 바다에 심기어라 하였을 것이요 그것이 너희에게 순종하였으리라”
형제가 죄를 범할 경우 그 죄를 경고하고 회개하면 용서하라 하셨습니다. 하루에 일곱 번까지도 용서하라 하셨습니다. 이때 사도들은 “우리에게 믿음을 더하소서”라고 예수께 고했습니다. 예수께서 사도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에게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 있었더라면 이 뽕나무더러 뿌리가 뽑혀 바다에 심기어라 하였을 것이요 그것이 너희에게 순종하였으리라”
3. 종의 자세
“7.너희 중 누구에게 밭을 갈거나 양을 치거나 하는 종이 있어 밭에서 돌아오면 그더러 곧 와 앉아서 먹으라 말할 자가 있느냐 8.도리어 그더러 내 먹을 것을 준비하고 띠를 띠고 내가 먹고 마시는 동안에 수종 들고 너는 그 후에 먹고 마시라 하지 않겠느냐 9.명한 대로 하였다고 종에게 감사하겠느냐 10.이와 같이 너희도 명령받은 것을 다 행한 후에 이르기를 우리는 무익한 종이라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을 한 것뿐이라 할지니라”
종은 하루 종일 밭에서 수고하고 돌아와 쉬지도 못하고 주인이 밥을 먹는 동안 띠를 띠고 수종을 든 후에 주인이 먹고 마시라 할 때 먹을 수 있는 신분입니다. 주인이 종에게 수고했다고 감사하지도 않는 신분입니다. 종들은 주인이 명령한 것을 다 행한 후에 우리는 무익한 종이며, 마땅히 할 일을 했을 뿐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 모든 성도들도 이러한 정신으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십자가에 못 박히게 될 인자 (마 26:1~5) (0) | 2015.07.26 |
---|---|
세상의 빛으로 오신 예수 (요 8:12~30) (0) | 2015.07.26 |
하나님의 선물 (시 24:1~10) (0) | 2015.07.12 |
주를 의지하고 바라보아야할 인생 (시 130:1-8) (0) | 2015.06.28 |
인생의 생각과 다른 하나님의 일 (행 10:44~48) (0) | 201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