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루터의 개혁 : 교육, 자선, 사회복지의 새 패러다임
김동주 교수(호서대학교, 역사신학) djkbos@hanmail.net
1. 루터의 세계
2. 루터의 대응 - 무기보다 더 시급한 학교
중세교육의 정황, 루터의 교육주장이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 -> 빈부격차의 해소
1) 학교의 설립
루터는 1512년 “기독교 학교를 설립 유지하는 모든 독일 도시 의원들에게 고함(To the Councilmen of All cities in Germany That They Establish and Maintain Christian Schools)"이라는 논문을 통해 종교개혁운동이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도시의 관원들과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들을 교육시키지 않는 것은 심지어 ”악마의 것“이라고 루터는 불렀다.
2) 도서관의 설립
학교 설립 주장과 더불어 루터는 각 도시마다 공공 도서관을 세울 것을 주장하였다. “독일에 학교를 세우고자 소망하는 모든 이들이 중대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 하나있다. 그것은 바로 좋은 도서관을 세우는 것이고 이를 위해 어떤 노력이나 비용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만일 복음과 세상의 학문이 잘 보존되는 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책과 저서들을 통해서이다.”
3) 교육의 중요성을 제기한 루터의 의도...
4) 창조적인 신앙교육
“더 가르쳐서는 안 되는가?” 아니면 “더 가르칠 것인가?”
a. 신앙교육의 필수 -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 등을 포함, 세례와 성만찬의 의미, 고백과 기도문, 식탁감사 등을 지칭.
b. 대/소요리 문답 - 루터와 칼뱅의 문답 집들은 각각의 주요한 신학적 주제가 반영되었다.
c. 공헌 - 신학적 문답, 문답 자체의 방법
3. 자선을 뛰어 넘어 참 개혁으로
1) 루터의 설교 ->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a. 1519년 “고리대금업에 대한 짧은 설교(Short Sermon on Usury)”를
b. 1년 후(1520년) “고리대금업에 대한 긴 설교(The Long Sermon on Usury)”와 ”선행에 대한 논문(Treatise on the Good Works).“ 그리고 “독일 귀족에게 고함(To the German Nobility)” 등의 여러 저술을 통해 기독교 사회사업의 실천론을 전개했다.
c. 1524년 “상업과 고리대금업”
d. 1540년 루터는 “성직자는 고리대금업을 반대해야 한다(That Clergy Should Preach Against Usury).”라는 설교를 발표하였다.
* 한국사회의 고질병인 부동산투기
정당하게 벌어들이지 않은 것은 죄악이다. 한국의 부동산투기는 분명히 죄악이다. 집 있는 1천만은 집 없는 2천만에게 해악을 끼치는 것과 같다. 부동산(땅과 집)을 먼저 선점하여 부동산 증식하여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2) 공동금고(Common Chest) - 가난이라는 사회문제에 대한 답
오늘날 사회복지의 근원이기도 하다. 마틴 루터의 교회의 실천적인 기독교 영향으로 인하여 오늘날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이 사회복지 정책이 잘되어 있다고 본다.
* 고니시 유키나가
임진왜란 침략 장수 -> 한양을 정복했지만, 점령에는 실패했다.
명랑해전
노량해전 - 패하고 일본으로 돌아감
- 노예로 끌려온 한국인을 선대
- 이들에게 예수회에서 전했던 복음을 듣고 그리스도인이 되게 함
제2장 한국교회의 새로운 성장방안 (0) | 2009.05.29 |
---|---|
도시 개척 교회 목회자의 한숨 : 나이영(CBS 기자) (0) | 2009.03.26 |
5. 예배드리는 날 - 영원한 안식을 주신 날 (0) | 2009.03.26 |
4.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자의 마음가짐(태도) (0) | 2009.03.26 |
3. 어떻게 예배를 드려야 하는가? (0) | 2009.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