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독교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신구약성서연구/기독교교육학

by James S. S. Jung 2009. 5. 29. 10:04

본문

 

기독교교육과정.hwp

 

 

기독교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1. 기독교교육신학 입장에서 본 교회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양육하기 위한 “하나님의 교육”(Paedagogia Dei)의 통로이다. 종교개혁자 칼빈(John Calvin)은 그의 책 ‘기독교강요’ 제4권 제장에서 교회를 ‘학교’라고 부를 정도로 교육의 기능을 교회의 본질적인 요소로 이해했다. 도빈스(G. Dobbins)에 의하면 “교회는 부설학교를 가진 종교기관이 아니다. 교회는 그 본질에 있어서 교육하는 공동체(학교)이다. 예수그리스도는 위대한 교사이며, 성령은 그의 해석자이며, 성경은 주된 교과서이다. 따라서 목회자는 학교의 주요, 관리자가 되며...... 모든 교인은 동등한 학생이 된다.”고 했다. 이처럼 교회는 그 자체가 하나님께서 목적을 가지고 특별히 계획된, 하나님이 직접세우신 그의 교육기관이다.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유기체로서의 본질적 이해에 근거할 때, 그 교회는 존재론적으로 의식하든, 않든 간에 이미 하나의 교육과정(Curriculum)을 지니고 있다. 그래이브스(A. W. Graves)에 의하면 “교회는 교육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는 말(표현)보다는 교회 자체가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교회는 인간의 영적 차원뿐만 아니라 지적,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함에 있어 가능한 잠재력과 자원(은사)을 공유하고 있는 카리스마 공동체이다.

 

2. 기독교교육과정의 특성

하워드 핸드릭스(Haward Hendricks)는 “기독교교육이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임의 선택이 아니라 절대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이다”라고 말했다. 기독교교육은 단순히 가르침의 차원에서 고찰될 것이 아니라 신학과 교육이라는 복합적 배경 속에서 그 의미를 추적해야 한다. 기독교 교육의 개념은 신학사상과 직결되는 것으로써 기독교교육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신학적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1) 교육의 뜻

교육이란 한자에서 ‘교(敎)’는 가르치는 것(instructing)을 의미하고 ‘육’(育)이란 양육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어로는 'education'이라하는데 이 말은 라틴어의 ‘educare'에서 유래되었는데 ’e'는 'out'을 의미하고 있고, 'ducare'는 lead up 또는 bring up을 의미한다. 따라서 'educare'는 ‘밖으로 이끌어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이란 하나님이 주신 학생들의 재능과 소질을 이끌어 내어 잘 표현하도록 육성하는 것이고, 마땅히 알아야할 진리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2) 교육의 정의

a. 그리스철학자 플라톤(Platon B.C. 427~437)은 관념적인입장에서 교육을 논하고 있다. 그의 세계관은 현실세계와 이성세계로 구분하는 이원론을 주장하였으며 현실세계는 눈으로 볼 수 있는 불빌 세계로서 무가치한 것이며 이성세계는 이데아의 세계로서 절대 불변하는 정신적세계로 보았다.

b. 코메니우스(John A. Comenius, 1592~1670)는 그의 대표작인 ‘대교수학(Didatica Magna)’에서 교육방법은 자연법칙에 따라야 한다는 전제하에 하나님과 자연의 밀접한 관계를 인정하며, 교육의 궁극적인목적은 인간의 마음을 하나님에게 봉사할 수 있는 인격을 만드는 것이라고 하였다.

c.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교육이란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Continuing reconstruction of experience)으로 이해되어야한다”고 하였다.

교육의 정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가지는 공통점은 바람직한 인격형성의 과정이며, 보다 나은 사회개조의 수단이라는 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인격형성의 과정에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나온 견해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 즉 전인적인 교육을 통한 전인적인 인격을 지닌 개인을 형성하는데 있다.

3) 기독교교육의 개념

기독교교육의 개념은 신학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비(C. B. Eavey)의 말처럼 “기독교교육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교육은 기독교 신학에 근거를 두고 있을 때만 기독교 교육의 목적과 취지 그리고 방법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기독교교육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48년이며, 활성화된 것은 1960년대 초엽이다.

a. 기독교교육이란 신학이 체계화한 기독교에서 주어지는 내용을 적용, 해석, 전달, 가르치는 행동과학이라는 주장이다.

b. 기독교교육은 기독교에 관한 교육이라는 주장이다. 이것은 그리스도인 신앙공동체에 관한 교육 혹은 그리스도인 신앙공동체에 의한 교육을 말하며 교육의 장으로는 교회, 가정, 학교, 사회 등이다.

c. 기독교교육이란 중생한 신앙인이 총체적, 전체적, 신앙고백적인 삶의 형태로서 추구하는 학문이라는 주장이다.

기독교교육이란 진리를 가르쳐서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며, 하나님이 주신 재능과 은사를 발견하여 육성해 줌으로서 하나님을 바르게 예배하고 이웃에게 봉사하도록 하는 인간 본연의 삶을 살도록 가르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의 주체는 하나님이며, 기독교교육의 대상은 인간이고, 기독교교육의 교사는 성령의 사역을 인정하는 소명 받은 교사이며, 기독교교육의 장은 가정, 교회, 학교, 그리고 사회이다.

 

3. 교육과정의 의미

1) 교육과정의 뜻

교육과정이란 커리큘럼(Curriculum)을 말한다. 이 말의 어원은 라틴어 동사 ‘쿠레레’(Currere)로 ‘뛴다’는 뜻이다. 커리큘럼은 단지 ‘뛴다’, ‘과정’ 또는 ‘Course of Study'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즉 무엇인가 학생이 학습하고 경험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커리큘럼이란 말이 교육에 전용되어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학습코스와 더불어 학습내용이나 경험내용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은 경험의 선택(selection), 경험의 조직(organization) 그리고 경험의 배열(grading)의 절차를 밟게 되므로 내용적으로는 선택되고 조직된 형(型)과 학습하는 순서를 가리키게 된다.

 

2)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이란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교육과정이란 용어가 경우에 따라서는 교과과정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거기에 따라 그 성격이 다르다. 영어의 경우에도 커리큘럼이란 ‘Course of Study' 혹은 Program of Study'로 사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The Unit of Credit'로 표현되기도 한다.

a. 광의의 의미

교육과정이란 생활 전반에 걸쳐 있는 것으로서 기독교교육과 그 교육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학교, 교회 그리고 사회에서 얻어지는 경험과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현대에 와서 모든 경험을 포함한 보다 넓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활동은 학생들이 해야만 하는 일과 태도 그리고 사색하는 데 영향을 주는 주위환경, 접촉하는 사람들, 단체와 교재 등을 포함한 모든 생활 조건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경험과 활동의 문제들은 기독교교육의 목적 안에서 그 목표가 계획되어야한다. 또한 이것은 교육의 전문분야 즉 학교교육, 가정교육 그리고 사회교육 등을 포함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과정이란 개인생활의 총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관의 차이에 따라 일련의 교과체계라고 하거나 혹은 생활경험이라고 한다.

b. 협의의 의미

교육과정의 협의의 의미는 학습의 코스가 구체적인 내용에 따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이란 두 가지 각도로 크게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인류가 역사적으로 지금까지 쌓아온 경험에서 얻어지는 지식의 체계와 학습의 내용으로 형성되는 교과교육과정(敎科敎育課程, Subject matter Curriculum)인데 이것은 흔히 협의의 의미로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학습자 스스로의 자발적 활동에 의하여 생기는 경험의 체계인 경험교육과정(경험교육과정, Experience curriculum)이다.

교육과정이란 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의미한다는 광의의 의미로 생각할 때 인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광의의 의미를 고찰할 수 있다.

a) N.C.C. 기독교교육 커리큘럼특별위원회

(a) 광의적 의미 - 교육과정이란 “기독교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가이던스 아래에 있는 경험(Experience under guidance)”이라고 정의 하였다.

(b) 협의적 의미 - “기독교교육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가이던스 아래 있는 경험에 포함된 도구”라고 하였다.

b) 넬슨(C. Ellis Nelson)

(a) 광의적 의미 - “교사, 학생, 교육목표, 교육장소, 교육방법, 시간 등 많은 다른 요소들을 총괄하는 사회적 환경(social setting)을 의미 한다”고 했다.

(b) 협의적 의미 - “학교나 교회에서 교사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교재를 의미 한다”고 했다.

 

3) 교육과정의 문제점

a. 배열문제 - 교육과정의 범위문제인데 필요한 교재나 교과 또는 필요한 경험이나 활동을 선택함에 있어서 목적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b. 배열문제 - 선택한 내용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어떻게 배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c. 구조문제 - 선택한 교과를 배열한 후 그 배열에 따라 어떻게 조직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이것은 교과상호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d. 영역문제 - 교육과정에 있어서 교과 영역과 교과의 영역간의 관계의 문제이다.

 

4) 기독교교육과정의 성격

a. 기독교교육은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이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b. 기독교교육활동은 그리스도의 사명과 뜻 그리고 성령에 의하여 움직여야 한다.

c.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기독교교육과정에는 예배, 성경공부, 전도, 성도의 교제, 봉사 등의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5) 기독교교육과정의 변화요인

a. 신학사상의 영향

성경해석과 신학사상의 변화는 기독교교육과정의 변화에 크게 작용한다. 기독교교육은 성경이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의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규범이라는 바탕(딤후 3:16-17)위에 성령의 조명하심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b. 교육외적(敎育外的) 영향

a) 사회적인 변화이다. - 기술과학의 발달은 사회형태를 변화시킨다.

b) 경제적인 변화이다. - 국민소득의 신장으로 인한 경제체제의 변화는 교육외적요인으로 작용한다.

c) 가치관의 변화이다. - 시대의 가치관은 정치사회문화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시대의 가치관도 변화되어진다.

 

 

 

기독교교육과정.hwp
0.04MB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