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pherd University
695 S. Harvard Blvd., Los Angeles, CA 90005
ST 820: Theology of Peace in Israel & Palestine
Submitted to
Shepherd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Master of Theology
Sin-Sub Jung
2123 Sansong-Dong Sujong-Gu
SongNam-Si Gyonggi-Do
Seoul Korea 461-260
Phone: 82-31-735-0378, 82-17-352-0378
Instructor: Dr. Frederic Bush
April 10.
Ⅰ. 이 과목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1. Introduction
지난 9.11 사태 이후 우리는 또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되었다. 곧 이슬람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다. 이들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살고 있다. 이슬람 인구는 약 12억이며 전 세계 인구의 1/3 or 1/4을 차지하고 있다.
1) 프랑스 - 인구 11% ~ 50%에 육박하고 있다. 물론 11%가 정확하다고 보아도 많은 숫자가 아닐 수 없다.
2) 영국 - 영국에는 이민 자보다 본토에서 출생하는 이슬람 인구가 더 많다.
3) 미국 - 약 800만 인구가 이슬람교도들이다. 이 숫자는 미국의 가장 큰 교단인 감리교와 장로교 교단을 합한 숫자보다 더 많다.
세계는 작아지려는 추세인데 반해 이들은 이슬람교도들은 많은 부분들을 차지하고 있다. 이제 이들은 우리의 가까이에 있는 친구들이다. 또한 다원화 사회로 가는 세계화 추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의무가 주어진다. 그들이 누구이며, 어떻게 중요하며, 그들이 우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내야 한다.
문제는 복음주의나 근본주의 지도자들 가운데 모슬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데 있다. 그들은 부정적이고 사탄의 집단으로 보고 있다.
* Franklin Graham the son of evangelism Billy Graham
이슬람은 심각한 악이며 굉장히 사악한 존재라고 말했다.(a very evil and wicked religion)
* Pat Robertson
a) TV fame - 마치 이슬람은 폭력적인 존재로서 이 세상을 차지하려 하거나 부수어 버리려한다고 말했다.("dominate and destroy")
b) The christian coalition - Muhammad was "a wild-eyed fanatic" and "a killer"(무하마드는 와일드한 눈을 가진 광신자이며 살인자라고 말했다.)
c) Muslim faith is "a monumental scam"(이슬람의 신앙은 지나친 사기이다.)
* Dr. Frederic Bush
나는 복음주의 전통에서 나온 사람이며 그 지도자들과 같은 선상에 서 있는 사람이다. 나는 그들과 신앙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하나님이 누구인지 예수그리스도가 누구인지를 이야기한다.그러한 부정적인 지도자들의 주장들은 너무 선동적이고 무책임한 이야기들이다.
* Oct 12th ABC News reported - 이슬람 최고지도자의 이야기
"called for the three protestant ministers to the killed for insulting muhammad"(이렇게 잘못되게 이야기하는 3명의 목사들을 처형해야 된다고 이야기했다.)
아랍권 근동 지역 팔레스타인이 모두 이슬람권이라고 생각한다면 이슬람과 이스라엘의 끊임없는 분쟁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이슬람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 한 것이다.
* Dr. victor Makri의 견해에 나(Frederic)는 동의한다. - coordinator of the office for the Middle East and Inter faith rel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U.S.A.)
이 사람은 미국장로교 신앙연대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이다. “We will not win Muslims by invalidating them as persons by denigrating and demonizing their faith" 우리는 절대로 이슬람을 복음화 시킬 수 없을 것이다. 만일 그들을 끊임없이 무효화하고 그들의 약점을 잡으려하고 그들의 신앙을 악마처럼 다룬다면 절대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할 수 없다.
2. Brief History of the Rise and Development of Islam
이슬람이 어떻게 발생하고 발전했는가? 그리고 이슬람의 신앙과 신앙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또한 기독교와 이슬람의 다른 점과 유사점이 무엇인가?
1) 이슬람의 발생
(1) A Muhammad
a. 츌생 - 570년 아리비아반도 메카의 오아시스 작은 도시 출생이다. 그곳은 양쪽 흑백으로 된 두 가지 엠파이어에 낀 상태에 있다. 즉 비잔틴과 페르시아사이에 놓여 있다.
b. 헤자 - 세계무역의 요충지이다.
c. 페르시아 - 바다로 통하는 길과 육로를 다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왼쪽 비잔틴 문화와 오른쪽 페르시아 문화사이에 있는 메카에서 출생했다. 페르시아는 아라비아를 다스리고 관장했다. 이곳에는 종교적 문화적인 침투가 있었던 지역이다.
아라비아 근동, 아랍권, 에디오피아 역시 기독교권이었다. 에디오피아는 남쪽 아라비아에 영향을 준 국가였다.
d. 550
a) 야스림에는 기독교인들(유대인)이 많이 들어가 있었다.
b) 비잔틴 - 페르시아 사이에서 싸움이 일어났다.
c) 이 전쟁은 무하마드가 살고 있는 동안 계속되었다.
e. 610 - 그가 40세 때 페르시아 군대가 비잔틴을 완전히 패배시켰고 그곳에 있었던 시리아, 이집트까지도 정복하게 되었고 614년에는 예루살렘까지도 포로로 잡아갔다.
f. 630 - 페르시아를 애굽과 시리아에서 몰아내고 평화를 위한 ?를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두 세력간의 전쟁으로 인하여 지칠 대로 지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g. 메카 - 전쟁의 결과로 부유한 축적한 지역이 되었고 사람들이 빈번히 왕래하는 지역이 되었고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메카는 비잔틴 제국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중요한 무역의 통로를 개발하게 된다.
h. 무역의 발달로 인한 성장된 메카
a) 족장, 씨족의 충돌과 전통들이 무너지게 되었다.
b) 권력과 부가 나누어지게 되었다.
c) 부족연합이나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개념이 붕괴되었다.
2) 무하마드가 선지자로서의 등장
(1) 베니 하쉼 가족
a. 쿠라이시 부족의 작은 씨족
b. 고아로 숙부(아브탈리브)에게 보호를 받음
c. 알리(삼촌의 아들)
(2) 상점에서 일하게 됨
a. 카디자(Khadija 554-619)를 만남
b. 카디자의 요청으로 카디자의 시리아 원정 상대의 책임을 맡아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시리아를 방문
c. 카디자의 결혼 제안(무하마드에 대한 깊은 인상과 애정)
d. 부유한 과부 카디자 - 무하마드에게 안정과 명상의 시간을 제공
(3) 그의 설교
a. 부족간의 다툼과 파벌에 도전
b. 씨족과 부족 - 과부와 고아를 방치
c. 40세 - 광야에서 고독과 위로를 찾게 됨
(4) 동굴 - 명상, 기도
a. 몇 일씩 기도하고 명상할 때 - 가브리엘 천사장이 그에게 나타남
Proclaim!(Or Read!) in the name of your Lord and cherisher, who created ~ ...... Taught man that which he did not Know"(sura 96.1-5)
b. 천사장의 만남 - 두려워함, 미친 것으로 생각, 귀신들에게 사로잡힌 것으로 이해
c. 부인에게서 용기를 얻게 됨
a) 그녀의 사촌(Waraqahibn Nawfal) - 기독교인/ 성경을 아는 자
b) 무하마드의 체험 - 모세의 환상과 유사함을 이야기해 줌
c) 그에게 찾아온 신 - 하나님이었고 자신을 선지자로 부른 것을 알게 됨
(5) 무하마드의 설교 - 중요한 것
a. 하나님의 선하심과 힘 - 모든 것을 창조한 자, 인간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는 자
b. 인간에게 주어진 의무 - 감사, 예배
c. 재산을 축적해서는 안 된다.
고아, 과부, 가난한 자 - 돌아보아야 한다. 그는 코란에서 잘못된 메카의 관습을 지적하고 있다.
d. 재림, 심판에 대하여 이야기했고 상급도 있을 것을 이야기했다.
613 - 메카에서 유명한 설교를 공적으로 하게된다.
a. 모든 사람은 한 분 하나님께 돌아와야 한다.
b. 무역은 정직하게 해야 한다.
c. 노예, 여인, 고아들을 경외하고 존경해야 한다.
메카는 종교적으로 다신론지역이었다. 청교도들도 많이 있었고 카바의 성지들과 무역의 마켓들이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것은 상류계층의 자원이기도 했다. 상류계층은 무하마드의 설교에 심각한 갈등을 가지고 대립하게 되었다. 그의 설교는 비웃음과 박해만 받았다. 훗날에도 그의 설교에는 초기의 설교들이 덧 붙여졌다. 무하마드는 잘못된 신앙이 아닌 그가 믿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619 - 메카에 박해가 심각하게 돌아갔다.
a. 그의 아내와 삼촌이 죽게된다.
b. 자신의 생명도 위협을 느끼게되었다.
c. 메카로부터 북쪽 150마일 지점의 야스립에서 부족간의 갈등의 화해 자로 올 것을 제안한다.
d. 추종자들을 먼저 야스립으로 보낸 후 그는 동굴에 머물다가 야스립으로 간다.
이것을 ‘헤지라’라고 한다.
622 - 메디나(선지자의 도시)
a. 유대교 씨족들은 무하마드를 선지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b. 메카 박해자들과 유대인들과의 계략
c. 메카 군대가 메디나를 침략
d. 메디나에서 무하마드가 승리하게 된다.
이때부터 예루살렘을 향하여 기도하던 추종자들은 메카를 향하여 기도하기 시작했다.
630 - 무하마드의 무슬렘군대가 메카에 입성하게 된다.
a. 메카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슬람교도로 개종하기 시작함
b. 이슬람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으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632 - 무하마드는 메디나에서 사망하게 된다.
a. 후계자가 없었다.
b. 메디나에서 묻혔다.
3) 무하마드의 중요성
(1) 무하마드 - 종교인, 정치인, 하나님의 심판을 설교했던 설교자, 새로운 신앙의 사자, 종교적 공동체를 형성(메디나), 이슬람교의 신앙과 법을 완성했다.
(2) 코란
a. 무하마드는 하나님의 종으로 초인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그는 하나님의 선지자로 소개된다.
b.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은 코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c. 코란은 계시의 책이다.
d. 무하마드는 Ab, 모세, ... 마지막 선지자라고 말한다.
e. 세상을 새롭게 하려는 목적 - 코란을 통하여 바로 잡기 위한 것이다.
(3)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것들에 대한 문제
무하마드의 삶과 그의 가르침을 기록하여 만든 책이 ‘하디스’이며 이것을 전통이라 한다.
4) 이슬람의 확산 - 무하마드 사후 30년 간
(1) 합의에 의한 지도자 선출
제1대 칼리프 아부 바르크(573-634)
제2대 칼리프 오마르(586-644) - 이라크, 시리아, 이집트, 파레스틴, 페르시아, 쿠파 등을 점령했다.
제3대 칼리프 쿠라이슈족 오스만(644-656)
제4대 칼리프 하심가 출신 알리(600-661)
711 - 스페인점령 - 이슬람화
732 - 찰스 마틴 장군(투르전쟁) - 무슬렘을 무찌름
732~1492 - 약 700년 간 이슬람의 발전과 확산
a. 도서관의 장서들 -이슬람에 대한 장서들에 수록
b. 유럽의 암흑기
c. 그리스문화의 유지 확장
d. 이슬람세력의 중심지
a) 지중해동부 : 소아시아, 이란, 파키스탄, 말레시아, 인도네시아
b) 서쪽 에스파니아 동쪽 인도까지 확산
c)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남쪽에서 이슬람선교사들이 열정적인 사역을 벌였다.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 필리핀까지 이슬람의 영향을 받았다.
5) 두 번째 계승자(이스람의 신앙과 생활의 출처)
하나님의 계시를 무하마드가 받았고 그 내용이 코란에 있다. 두 번째 계승자가 그것을 다 기록했다. 권위 있는 전통이 코란에 기록된 것이다.
(1) 코란(Qur'an)
a. 장절로 구성
b. 114장으로 되어있고 장을 ‘sura’라고 부른다.
c.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한 삶에 대한 기록
(2) 하디스(Hadith)
a. 모든 공동체가 읽어야 할 책
b. 많은 책들을 수집 - 후대에 믿을 만한 책(하디스)으로 받아들였다.
(3) 이슬람의 법(Shar'a)
a. Qur'an - 하나님의 계시
b. Hadith - 무하마드의 삶의 교훈
c. Sharia - 이슬람의 법(the Muslim Law)
a) 여기에서 4개의 법적인 종파들이 생겨났다.
b) Sharia는 우리가 밟아 가야하는 길
c) 체계적인 법 - 기도, 금식, 청결, 가족의 삶에 필요한(계약, 결혼, 이혼, 상속 등) 법까지도 들어 있다.
d) 계승자들에 의해(지적인 완성) 체계화된 법전이다.
3. The Faith and Practics of Islam the "Five Pillars"
이슬람의 신앙과 종교관습들 중에는 우리가 이해하고 동의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있다. 즉 그들은 하루 33번씩 코란을 암송한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가 그대로 해도 별 무리 없다는 점도 있다는 것이다.
1) 5가지 기둥(the Five Pillars)
(1) The Shahada, the confession of Faith
하나님은 안 계시고 알라만 계신다. 하나님이 한 분으로써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한 하나님을 이야기할 때 알라라고 말한다.
a. 한 분 하나님에 대한 고백
b. 유사성 - 기독교와 이슬람교, 그리고 유대교는 한 분 하나님을 섬기는 전통적 신앙을 지니고 있다.
c. 다른 점 - 차이점의 원인
a)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교리
(a) 코란은 하나님의 명령과 사람에게 준 율법이다.
(b) 성경(Bible)은
-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
- 율법을 주신 것
- 자신의 계시하신 것(예수그리스도의 성육신 = 성경의 약속을 성취 = 하나님자신을 계시하신 것)
- 성령을 통해 체험하게 하심
b) 신조
(a) 모슬렘의 신앙
- 알라 = 하나님
- 무하마드 = 하나님의 사자
(b) 기독교
- 여호와 하나님
- 예수그리스도 = 하나님의 아들 = 구세주
* 역사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무하마드에 대한 이해
- 협잡꾼
- 사악한 자
- 사리사욕으로 잘못된 종파를 전파했다.
그러나 박해 속에서도 그는 정직한 자였다. 성스러운 하나님에 대한 언급은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에 대한 것들이 있다. 세상을 향한 정의와 사랑, 사회의 가난한 자와 연약한 자를 돕는 것 등은 성경의 가르침과 동일하다.
d. 문제점
무하마드는 선지자로서 최종인물로 보고,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이해까지도 선지자의 반열로 동일 선상에 놓은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이슬람과 어떻게 대화하고, 이해하고, 교제해야 되는가?
(2) The Second Pillar: Daily Prayer Salat: 매일같이 기도하는 내용
하나님만이 완전, 위대하시고, 삶의 근원이시며, 모든 좋은 것의 원천으로 인정하는 것을 중요하다. 하루 5번씩 기도하는 내용 - 기독교인들의 기도생활을 능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기도형태 즉 몸짓을 받아들일 수 없다.
(3) The Third Pillar: Fasting(Sawm) - 금식하는 것
a. Ramadan(금식) 기간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않는다.
b. 삶에 대하여 심각하게 생각
c. 코란전체를 읽도록 강요
d. 새롭게 변화(하나님께 충성할 수 있도록)
e. 잘못된 행실로부터 돌아오게 한다.
f. 구약/신약 공동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a) 속죄절 기간동안 금식하도록 한다.
b) 예수님의 공생애 전 40일 금식하며 기도
c) (행 13:1-3) 기독교공동체 바나바와 사울을 파송하기 위해 기도
d) 금식기도에 대한 기독교전통 -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충성하기 위한 목적
(4) The Fourth Pillar: Giving of Alms
가난하고 헐벗는 자를 위하여 기부하는 것
(5) The Fifth Pillar: The Pilgrimage to Mecca(the Hajj) - 성지 순례하는 것
a. 하나님에 대한 경건성
b. 질적인 삶, 생각
c. 개인의 삶을 회상
d. 의로운 삶을 준비
4.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1) Similarities
(1) The Five Pillars of Islam
(2) The Missionary Calling of Islam
신앙에 대한 확실한 증인으로 하나님 전도에 헌신하고 있다는 점이다.
(3) The Islamic Concept of "Jihad"
a. 주의 길로 인도하라
- 지혜
- 아름다운 가르침
- 가장 인자한 방법으로 논쟁
- 어떤 힘을 사용치 말라
(코란 16:256) 종교는 강압해서는 안 된다.
진리는 잘못으로부터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다.
b. 지하드에 대한 바른 이해의 필요성
- 일반적인 이해 : 과격하고 폭력적인 집단이다.
- 성전과 관련되어 있다.
- 실제로 힘을 사용해서 개종시키는 일이 있다.
(코란 2:190-193) 실제로 내용을 근거로 힘을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분파가 있다.
2) Difference Between Muslim and Christian Belief. - 기독교와 이슬람이 다른 점
(1) "God the Father"
a. 하나님을 우리의 아버지로 부르지 않는다.
b. 알려지지 않고 초월적인 하나님에 본질을 경감시키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c. 그러나 실제 이유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거부하기 때문이다.(Sura 5:171)
a) 'Trinity' = 'three' 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b) 기독교인들이 세 하나님을 섬기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ex) 하나님, 마리아, 아들 예수그리스도
따라서 이슬람교도들과 이야기할 때에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언급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a. 예수님 - 이슬람교도들의 존경받는 분이다.
b. 기적, 마리아 동정녀 탄생, 하나님의 말씀은 인정한다.
c. 이적과 기사도 인정한다.
d. 코란에서 예수를 가장 의로운 자, 하나님께 가장 근접한 자로 묘사되었다.
e. 그러나 예수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부인한다.
f.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한다. 예수그리스도를 하나님의 훌륭한 사자들의 반열에 서있는 분으로 이해한다.
(3) "(He)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was Crucified dead, and buried; He descended into hell; the third day he rose again from the dead"
a. The Death of Jesus
a) 빌라도에게 당한 고난을 부정한다.
b) 십자가의 죽으심을 부정한다.
c) 3일만에 부활하심을 부정한다.
간혹 예수그리스도의 죽으심을 인정하는 자들도 예수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죄를 대속 하시기 위하여 죽으신 것을 부정한다. 이것이 분명히 이슬람과 기독교가 다른 점이다.
b. The Muslim Concept of Salvation.
a) 이슬람은 인간의 변화의 필요성을 부정한다.
b) 인간의 문제는 죄의 유전에 있지 않다고 본다. 단지 무지에 있다고 말한다.
c) 올바른 가르침만이 필요하다.
d) 구원자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We could diagram that this way:
Both Islam and Christianity Postulate that human beings need Revelation,
the Word of God.
Islam |
Christianity |
The Word of God through Muhammad became Book, The Qur'an. |
The Word is a Person, the Son of God; in Jesus Christ the Word became Flesh, The Book, the Bible, provides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
Both Islam and Christianity Postulate
that human beings need acceptance by God,
Salvation.
Islam |
Christianity |
Humanity, fundamentally good, needs only knowledge and guidance provided by the word as Book and the example of Muhammad |
Humanity, fundamentally sinful, needs redemption and empowerment provided by faith in the atonement of the Word as Person, Jesus Christ, the Righteous. |
Therefore, as the Apostle Paul Puts it in Romans 3:20-22, no human being will be justified in God's sight by words of the Law, since through the Law comes Knowledge of sin. What human beings need is the righteousness of God through gaith in Jesus Christ, the righteousness provided by the atonement for sin wrought by Jesus on the cross.
Ⅱ. 이 과목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가?
1. 이슬람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
1) 전 세계에 흩어진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인식
(1) 프랑스 - 11% ~ 50%를 차지하고 있다.
(2) 영국 - 이민 자보다 이슬람교도 출생자가 더 많다.
(3) 미국 - 약 800만 인구로 보고 있다.
(4) 한국 - 약 13만 인구로 추정되고 있다.
2) 성경과 코란의 저작배경에 대한 특성
(1) 성경
하나님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을 통하여 계시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게 하신 것이 성경이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저자의 모든 성격과 재능과 그리고 지식과 필적 등을 그대로 사용하시되 하나님의 계시된 말씀을 기록한 성경의 통일성을 유지하셨다.
(2) 코란
무하마드의 생애의 교훈을 중심으로 후대 계승자에 의한 인간의 저작이다.
a. Qur'an - 장과 절로 구성되었고 ‘장’을 ‘sura’라고 한다. 총114장으로 되었고 내용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한 삶에 대한 기록이다. 따라서 코란은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인간의 사색의 기록으로서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용서와 구원은 물론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메시지가 전혀 없는 인간의 윤리와 도덕에 속한 책이다.
b. Hadith - 모든 공동체가 읽어야할 책이다. 무하마드의 많은 교훈들을 수집하여 만든 책이다. 후대에 믿을만한 책으로 받아들여졌다.
c. Shara - the Muslim Law
인간이 살아가야 할 법에 대하여 기록한 법전이다. 여기에는 기도, 금식, 청결, 가족의 삶에 대한 계약, 결혼, 이혼, 상속 등에 대한 법까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계승자들에 의해 체계화(지적인 완성)된 법전이다.
3) 이슬람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이슬람에 대한 기존 인식
a. 왼손에는 코란, 오른손에는 칼.
b. 수강 후 새로운 인식은 코란의 내용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
c. 이슬람교도들도 구원이 필요한 죄인임을 깨닫고 그들을 구원하기 위한 선교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d. 그들의 경건성은 기독교인들의 신앙생활을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다.
ex) the five pillars
2. 이슬람의 실체를 규명하고 분명히 해야할 일
1)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부정
(1)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그리스도를 부정
(2)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
(3) 예수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부정
2) 삼위일체 하나님을 부정
(1) 삼위 곧 ‘Trinity’를 ‘three’로 이해하고 있다.
(2) 단일신론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3) "God the Father"를 부정한다.
(1) 이유 - 하나님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과 초월적인 부분을 경감시킬 우려가 있다.
(2) 본색 - 삼위일체 하나님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4) 성경을 부정
(1) 이슬람의 주장
a. 모세 오경과 다윗의 시편 그리고 예수의 복음과 함께 코란만을 인정한다.
b. 무하마드를 통하여 계시된 말씀만을 인정한다.
(2) 성경의 증거
a. 성경은 말씀이 육신이 되어오신 예수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다.
b. 성령은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이 곧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것임을 증거하고 있다.
5) 이슬람의 인간이해와 구원
(1) 이슬람의 주장
a. 이슬람은 인간의 변화의 필요성을 부정한다.
b. 인간의 문제는 죄의 유전이 아닌 인간의 무지에 있다고 본다.
c. 올바른 가르침만이 필요한 존재로 본다.
d. 그러므로 구원자가 필요 없다는 주장이다.
(2) 성경의 증거
a. 성경은 인간은 본질적으로 죄악 중에 출생한다고 한다.
b.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대속이 없이는 그 누구도 구원받을 수 없다고 한다.
c. 인간은 반드시 구원받아야할 존재라고 한다.
Ⅲ. 이 과목이 본인의 사역이나 신앙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1. 이슬람교리와 분파들의 사상이해
1) 이슬람 선교를 위하여 그들의 교리와 분파이해는 선결조건이 된다.
2) 20C 기독교인구의 침체와 21C 기독교인구의 감소에 대한 대안
(1) 원인 - 타종교인에 대한 배척 그리고 빈곤과 인류사회문제에 대한 무관심
(2) 중국 - 시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 1995) 가입 후 개방정책에 따른 복음전도 기회 모색
(3) 중동 이슬람권에 대한 관심 - 기독교에 대한 저항세력이며 빈곤지역이다. 이들을 어떻게 접근하고 구원할 것인가?
2. 이슬람은 기독교를 향한 하나님의 도구
1) 부패한 기독교를 바로잡기 위한 하나님의 채찍일 수 있다. 이것은 이스라엘 주변국을 통한 하나님의 연단에서 찾을 수 있다.
2) 이슬람교도들 - 신앙의 확신 그리고 완고한 관습과 개종에 따른 신분 및 기본권 박탈에 대한 위험(두려움)
3) 이슬람의 ‘형제’ - 공동체간의 일체감
4) 전 세계인구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3. 소명과 예수그리스도의 흔적으로 선교에 헌신해야 한다.
1) 예수그리스도의 흔적 - 사도 바울이 가진 흔적들 : ‘천하를 어지럽게 하는 사람’(행17:6), ‘소요케 하는 자’(행24:5)
2) 이방을 향한 선교 - 소명을 인식해야 한다.
3) 하나님의 도우심(고후11:23-27) - 성령의 사람
4)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이슬람을 향한 관심과 계획
a. 성령에 대한 통찰력 - 선교역사에 숨겨진 하나님의 비밀을 가진 자
b. 하나님의 구속과 사랑을 가진 자
c. 그리스도의 섬김을 따르는 자
d. 이슬람의 허구를 향한 공격 -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증거로서 성경을 가르쳐야 한다.
e. 이슬람의 역사와 문화이해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울며 씨를 뿌리러 나가는 자는 정녕 기쁨으로 그 단을 가지고 돌아오리로다”(시126:5-6)
“Those who sow in tears will reap with songs of joy. He who goes out weeping, carrying seed to sow, will return with songs of joy, carrying sheaves with him.”(Ps. 126:5-6)
1. 루마니아 - 정00 선교사 (0) | 2009.03.26 |
---|---|
제2장 선교의 성서적 기초 (0) | 2009.03.26 |
현대선교에 대한 이해 (0) | 2009.03.26 |
타문화 이해 (0) | 2009.03.26 |
전도학 - 강사 : 박광철박사/ 교안작성 : 정신섭목사 (0) | 2009.03.26 |